Uber 개발팀에는 6개의 부서가 있다.

 

1. Growth – 비즈니스/애널리틱스 관련된 부서
2. Mobile – 모바일 앱 개발 팀
3. Front End – 웹 프론트엔드 담당 팀
4. Infrastructure – 인프라 담당. (아마도 Dev Ops)
5. Backend – 백엔드 담당 팀
6. Realtime – 실시간 예측, 데이터 분석 등 담당 팀

‘자유’는 사실 냉엄하다. 그것은 ‘하고 싶은 대로 내버려 둔다.’라는 의미가 아니다. 단순한 방종과 자유는 결정적으로 다른 위치에 존재한다. 독일의 철학자 칸트도, 자유는 의무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칸트는 우선, 인간과 동물을 구분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했고, 이성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동물은 본능에 지배를 당하며 살아가기 때문에 눈앞에 바나나가 있으면 무조건 먹으려 한다. ‘먹지 않는다.’라는 선택의 여지는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는다. 즉, 자유롭지 않다. 하지만 인간은 이성을 갖추면서 본능으로부터 자유로워졌기 때문에 바나나가 눈앞에 있어도 ‘먹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그 바나나를 정물화의 모티프로 삼기도 한다. 선택의 여지가 발생하는 것이다.

본능이나 욕구에 현혹되지 않고 이성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게 되면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즉 무엇이 ‘의무’인지 자연스럽게 깨달을 수 있다. 그런 깨달음을 따르는 것이 자유다. 자신이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하는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스스로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는 행위는 당연하면서도 어려운 일이다. 자유가 냉엄하다고 말하는 이유는 그런 의미에서다. 하지만 자신의 꿈에 다가가려면 자유로워져야 할 필요가 있다. 아니, 반드시 자유로워져야 한다. 

지금까지의 기업은 본질적으로 직렬형 조직이었다. ‘톱 다운’, ‘바텀 업’이라는 말이 있지만 결국 상사와 부하가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 라인을 통해 정보가 오간다. 그 때문에 ‘보고-연락-상담’이 강조되었다. 

하지만 디자이너 집단이 되어야 하는 미래의 기업에는 그런 직렬형 조직은 어울리지 않는다. 시간 낭비가 지나치게 클 뿐 아니라, 디자인 감각은 상하 관계를 통해 단련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커다란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데에는 직렬형이 효과적이었을지 모르지만 디자인 시대에도 그런 방식이 제 기능을 다할 수 있을지, 세밀하게 검증해 보아야 한다. 중요한 점은, 직렬형 조직보다 클라우드적 발상에 근거한 병렬형 조직 쪽이 앞으로는 보다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것은 ‘재무자본에서 지적자본으로’라는 시대적 흐름과도 겹친다.